저게 스트링을 특정 메모리에 카피할 때 , 마지막 널바이트까지 같이 카피해준다. 따라서 저 방법을 이용하면 널바이트 쓰기를 우회 할 수 있는 트릭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..!!!
'mem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c로 coroutines 구현 (0) | 2015.08.15 |
---|---|
문자열 함수들 특징 (0) | 2015.03.22 |
qemu를 이용한 arm system 설치 (1) | 2014.12.26 |
저게 스트링을 특정 메모리에 카피할 때 , 마지막 널바이트까지 같이 카피해준다. 따라서 저 방법을 이용하면 널바이트 쓰기를 우회 할 수 있는 트릭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..!!!
리눅스 c로 coroutines 구현 (0) | 2015.08.15 |
---|---|
문자열 함수들 특징 (0) | 2015.03.22 |
qemu를 이용한 arm system 설치 (1) | 2014.12.26 |
1. transposition ciphers -> 알파벳 순서 바꾸기
2. substitution ciphers -> 치환암호(카이사르)
3. 비제네르 암호 -> 문자열 + 키값 더한 인덱스 위치 알파벳으로 암호화
4. DES, AES, RSA, 이산대수(discrete logarithm), OTP(난수생성+모듈러 || xor연산)
5. 대칭키 암호화 ( 블록 암호화, 스트림 암호화)
블록 -> DES, AES
스트림 -> RC4
6. 공개키 암호화
-> RSA , Crammer-Shoup, Elgamel, 타원곡선 암호화
*단방향 hash
-> base64, sha256, sha1, sha384, sha512, crc32, panama, tiger , md2, adler32,md5 등등..
[BCTF 2017]Beginner's luck (crypto 40) (0) | 2017.02.05 |
---|---|
[picoctf 2015]Repeated XOR (4) | 2015.11.20 |
확장된 유클리드 (0) | 2015.05.07 |
암호 공격방법 (0) | 2015.04.25 |
[펌]python hashlib (0) | 2015.03.21 |
<repr>
repr(object)은 객체를 출력할 수 있는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돌려주는 함수이다. 이 변환된 값은 주로 eval 함수의 입력으로 쓰인다. str 함수와의 차이점이라면 str으로 변환된 값은 eval의 입력값이 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.
<str>
str(object)은 객체를 출력할 수 있는 문자열 형태로 변환하여 돌려주는 함수이다. 단 문자열 그 자체로만 돌려주는 함수이다. 위의 repr함수와의 차이점을 살펴보자.
설명만으로는 알 수가 없다. 직접 다음과 같이 입력해 보고 실행 해 보자
차이점 1)
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는 함수는 str과 repr 이다. str 은 print 문에 의한 출력과 동일한 문자열을 생성해 내고, repr은 변수만 입력해서 17자리 유효 자리를 출력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
>>> f = 1.23456789123456789
>>> str(f)
'1.23456789123'
>>> repr(f)
'1.23456789123456789'
차이점 2)
String과 Integer 변환 정리 (0) | 2015.08.25 |
---|---|
os.execve 주의 (0) | 2015.03.31 |
with~as 구문 (0) | 2015.02.22 |
개발 시 팁 (0) | 2015.02.18 |
string처리, 관련 메소드 (0) | 2014.10.01 |
파일 관련 코딩을 할 때 open 으로 파일 객체를 생성하고 close를 해 주는데 이 과정을 편리하게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.
with open("test.txt","w") as f:
f.write("this is test")
저렇게만 해도 close과정은 자동으로 된다.
os.execve 주의 (0) | 2015.03.31 |
---|---|
str과 repr의 차이 (0) | 2015.02.22 |
개발 시 팁 (0) | 2015.02.18 |
string처리, 관련 메소드 (0) | 2014.10.01 |
struct 관련 (0) | 2014.09.18 |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.
개발 시 이 객체가 어떤 attribute를 가지고 있는지, 내장함수를 쓰는데 이게 무슨 일은 하는지 잊어버릴 때가 있다. 구글신에게 물어보면 답이 나오지만 파이썬 쉘상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1. dir() 이용.
만약 파일 입출력 관련 프로그램 작성시 open()를 기분좋게 사용했지만 어떻게 읽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때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.
a = open("test","r")
dir(a)
2. help() 이용
help(zip) 과 같이 입력하면 내용이 뜬다.
os.execve 주의 (0) | 2015.03.31 |
---|---|
str과 repr의 차이 (0) | 2015.02.22 |
with~as 구문 (0) | 2015.02.22 |
string처리, 관련 메소드 (0) | 2014.10.01 |
struct 관련 (0) | 2014.09.18 |
.vmx파일에 다음과 같이 추가한다.
debugStub.listen.guest32 = "TRUE"
debugStub.hideBreakpoints = "TRUE"
monitor.debugOnStartGuest32 = "TRUE"
그 후 vmware를 실행시키고 IDA로 remote gdb debugger선택 후 localhost, 8832 port로 접근한다. 그 후 원하는 주소에 브레이크걸고 리버싱 ㄱㄱ
elf DWARF관련.. (0) | 2015.05.08 |
---|---|
peda 설치법 (0) | 2014.10.17 |
지뢰 찾기 핵 (1) | 2014.07.29 |
치트엔진을 활용한 환세취호전 핵 (2) | 2014.07.28 |
DLL Injection (1) | 2014.05.17 |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.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.
[pwnable.kr]coin2 (0) | 2015.01.07 |
---|---|
[pwnable.kr]syscall (0) | 2015.01.07 |
codegate 2013 vuln400 (0) | 2015.01.06 |
[pwnable.kr]rootkit (0) | 2014.12.02 |
[pwnable.kr]unexploitable (0) | 2014.12.02 |